연극 이론가 테리 호지슨(Terry Hodgson)은 『현대 희곡』(Modern Drama)에서 “입센의 극은 등장인물들이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한 성장을 향한 분투를 보여주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유를 향한 투쟁을 보여 준다”(Ibsen’s drama shows characters struggling to develop, struggling to be themselves and thus struggling to be free, 14)고 언급하며, “새로운 극은 배우들이 등장인물을 연기함에 있어 공감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불쾌하기도 한, 주인공도 아니고 악역도 아닌 면모를 잘 표현할 수 있기를 요구했다”(The new drama required actors who could portray characters neither hero nor villain, attracting sympathy and yet half-repellent, 7)고 설명한다.
이전 낭만주의 시대의 극은 유려한 운문체의 대사로 이상적인 삶을 무대 위에 그려내며 관객의 감성에 호소하는 경향이 강했다. 관객들도 이러한 스타일에 편안함과 감동과 익숙함을 느꼈다.
하지만 19세기 후반에 도래하게 된 새로운 사실주의 계열의 작품들은 완전히 이와는 다른 면모들로 구성된 낯설고 도발적인 작품들이었다.
작품으로부터 받은 불유쾌하며 낯설고 충격적인 느낌은 관객과 독자에게 분수령과 같은 균열을 주었는데, 연극 이론가 마틴 에슬린(Martin Esslin)에 따르면 『인형의 집』의 노라가 출가한 결말을 본 관객들은 “노라의 행위에 격렬하게 반대하는 사람들조차 결혼에 대한 자신들의 관점을 노라와 그녀의 남편이 부딪친 문제의 측면에서 재고하며 재정립하게 되었을 것”(Even those who violently object to Nora’s action will have been compelled to reformulate their attitude to marriage, to rethink it in the terms of the problem faced by Nora and her husband, 24)이었다.
스웨덴의 작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August Strindberg)도 입센과 비슷한 경력을 보인다. 스타이언에 따르면 1884년에 스트린드베리는 입센의 『인형의 집』에 대한 응답 성격의 작품으로 『결혼』(Getting Married)이라는 희곡을 썼는데, 이로 인해 그는 부도덕하다는 이유로 재판까지 받고 석방되었다(37).
스트린드베리가 작품에 입센과 비슷한 주장을 담은 것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는 입센의 여권주의에 대한 반동으로”(partly in reaction against Ibsen’s feminism, Styan 37) 저술 방향을 개진하기도 했으나, “우회하는 줄거리를 지닌 낡은 구성을 거부하는 레퍼토리”(a repertoire which rejected the old plots of devious intrigue, Styan 39)와 “기초적인 갈등을 겪을 때의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적 탐구를 선호”(preferring the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character as it underwent the basic struggles, Styan 39)하는 레퍼토리에 작품의 구성적인 주안점을 둔 부분은, 스트린드베리 또한 사실주의 조류에서 동류의 양식과 어조를 지향하는 강렬한 반향을 불러일으킨 작가임을 방증하는 지점이라 볼 수 있다.
'사실주의 문예 사조의 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도 도래한 사실주의와 유진 오닐 (6) | 2025.02.01 |
---|---|
또 다른 사실주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 | 2025.01.31 |
또 다른 사실주의 계열의 작가 안톤 체홉 (2) | 2025.01.30 |
사실주의극의 도래 (2)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