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집 안에 대해서는 침묵을 지키고 있던 문학은, 사람들이 장소와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에 변화가 온 것을 반영하며 불현듯 집 안을 매우 상세하게 묘사하기 시작했다.
Literature, long silent about decor, suddenly began to describe interiors in minute detail, reflecting a change in the way people looked at places and things. (Michelle Perrot, A History of Private Life. 4 356)
고전주의 연극이 왕정 시대 귀족사회의 합리적 이성 중심의 정신적 소산이었다면, 낭만주의 연극은 이와 같은 이성에 대한 강조에 반동을 형성하며 시작되었고, 사실주의 근대극은 개인의식이 발로하기 시작한 시민사회의 정신을 연극적으로 투영한 연극 사조이다.
극예술 연구자인 J. L. 스타이언(J. L. Styan)은 “연극 이야기는 새로운 형식이 낡은 형식에 도전하고 뒤이어 낡은 형식은 새로운 형식에 기반을 제공하는 반란과 반응의 이야기”(The story of the theatre is one of rebellion and reaction, with new forms challenging the old, and old forms in turn providing the basis for the new, Modern Drama in Theory and Practice, vol. 1. xi)라고 사조의 변천에 대해 언급하며, 낭만주의의 전성기와 더불어 시작된 19세기는 후반기에 이르면서 전례 없던 양식인 사실주의가 나타나며 근대 사실주의 연극 시대가 도래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한다.
새로운 희곡과 공연 방식은 당시 유행하던 낭만주의 연극 형식에 의식적으로 반기를 드는 형식으로 나타났으며, “사실주의의 반란은 처음에는 많은 이들에게 불유쾌하고 분명 충격적인 것으로 조명되었다”(The realistic rebellion, when it came, seemed to many people unpleasant, consciously shocking, Styan 5).
스타이언은 “입센과 스트린드베리와 체홉과 초기의 쇼 등의 시대는, 스스로를 희곡의 내용뿐 아니라 스타일에 있어서도 사실주의적이라고 생각했다”(The age of Ibsen, Strindberg, Chekhov and the early Shaw thought of itself as realistic in the style as well as the content of its plays, 1)고 언급하는데, 이들 극작가는 사실주의의 대표적 극작가로 자리매김한다.
사실주의 작가들은 시적 느낌의 도약이나 과도한 감상을 지양하며,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일상적인 언어로 대사를 쓰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당시 작품이나 공연에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을 보통의 날 것 같은 언어로 접한다는 것이 단순히 새로운 충격은 아니었을 터, 노르웨이 극작가인 헨릭 입센(Henrik Ibsen)의 『인형의 집』(A Doll’s House)은 1889년 영국에서 번역본으로 출간되고 공연되었을 때, “일상적이고 사실적인 느낌의 대사와 어조는 어쨌든 환영받지 못하는 충격으로”(with the note of authenticity in the dialogue coming, if anything, as an unwelcome shock, Styan 55) 받아들여졌고, “입센의 평범한 등장인물들은 수년 동안 낭만적 멜로드라마에 만족해 왔던 기호를 충족시키는 데 실패”(Ibsen’s unheroic characters failing to tempt a digestion sated for years with romantic melodrama, Styan 55)하였기 때문에 비난을 받았다.
입센의 대표작인 『인형의 집』은 사회가 요구하는 여성상으로 지내다가 작품 후반부에 이러한 모습에서 벗어나 자각하고 성장하여 마지막에 집을 떠나는 노라(Nora)와, 그녀를 그저 철부지 달래듯 예뻐하며 규제하려 하는 가부장적인 남편 토르발(Torvald)의 이야기로, 발표 당시 19세기 가부장 사회에 큰 충격과 반향을 불러왔다.
사회적 인습에 대한 도전적인 작품이었고, 긴장과 갈등의 최후에 화해하는 소위 행복한 결말도 아니었다.
'사실주의 문예 사조의 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에도 도래한 사실주의와 유진 오닐 (6) | 2025.02.01 |
---|---|
또 다른 사실주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 | 2025.01.31 |
또 다른 사실주의 계열의 작가 안톤 체홉 (2) | 2025.01.30 |
문예적 구성과 표현에 일기 시작한 낯설고 충격적인 반향 (2)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