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본원적 기반, 가족/소중한 일상에서 유래될 수 있는 얽힘5 영혼의 공동체라고 볼 수 있는 "가족" 가족을 하나의 정서적 단위로 보기 위해 우선 집(가정)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새삼스럽지만 이따금 생각해볼 수 있는 이 추상적인 내용에 대해선, 우선 가족들이 함께 살아가는 물리적 공간으로 그 정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족과 공유하는 이 소중한 공간 안에서 우리는 원가족과 인연을 맺고 살아가게 된다. 소망적 사고를 펼쳐봤을 때 집은 행복한 가정생활과 사적 공간의 이상적 장소이다. 그래서 또한 집은 공과 사의 공간을 구분하는 관념적, 은유적 경계이기도 하다. 본질적으로 사적인 공간으로서의 집은 일차적으로는 바깥으로부터 안전한 장소이자 마음 편하게 쉴 수 있는 가족들과의 단란한 가정이다. 하지만 많은 개념이 그렇듯이 집 또한 모순적인 양가적 관념을 내포하는 공간이라고 볼 수 있다. .. 2025. 1. 26. 가족체계이론의 등장 1차, 2차 세계대전을 겪은 20세기 중반은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패러다임에 큰 변화가 있던 시기이다. 번영의 시대이기도 했지만, 인류는 양차대전과 수많은 지역전쟁을 겪으며 인간의 잔인성과 무자비함을 목도 하였다. 전쟁의 최전선에 있었던 군인 중 살아남은 사람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에 시달렸고, 남편과 아버지를 잃은 가족도 트라우마에 시달렸으며 살아 돌아온 군인의 가정도 살아남은 자로서 겪게 되는 당사자의 트라우마로 인해 가정이 엉망이 되었다. 많은 죽음과 인간의 비인간성을 경험하며 사람들은 "과연 인간이란 존재는 무엇인가?"라는 실존적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상담 분야에서는 전역한 군인의 가족을 대상으로 한 치료가 등장한다. 가족치료의 토.. 2025. 1. 25. 하나의 정서적 단위로서의 가족 “가족체계이론”(family systems theory)을 연구하는 정신과 의사들인 마이클 E. 커(Michael E. Kerr)와 머레이 보웬(Murray Bowen)은 가족에 대해 하나의 “정서적 단위”(emotional unit)로 볼 수 있다고 언급하며 가족원 간에 관찰되는 “상호적 관계”(reciprocal relationship)에 관하여 지적한다(7). 각 사람은 다른 사람이 기능하는 방식으로 정서적인 면에서 속박되는 존재가 되고 이 과정을 멈출 만큼 충분히 그의 기능을 변화시킬 수가 없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의 기능이 가족에게 초래하게 되는 면이 있는 것처럼, 가족의 기능이 환자 또는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많은 문제를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가족은 보통 자신들의 불안이 환.. 2025. 1. 24. 우리의 삶에 만성적으로 스며들 수 있는 일상적인 개념의 트라우마 또 다른 트라우마 연구자인 정신과 의사 폴 콘티(Paul Conti)는 2014년 신경생물학과 심리학을 기반으로 정신건강을 연구하는 기관을 설립해 트라우마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위험성을 알리고 있다. 콘티는 2021년에 펴낸 『트라우마는 어떻게 삶을 파고드는가』(Trauma: The Invisible Epidemic)에서 트라우마의 일상적이고 은밀한 침투에 대해 설명한다. 트라우마는 모든 부분에 영향을 준다. 놀라울 정도로 많은 사람이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심각한 상처를 입는다. [...] 트라우마란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뇌의 생리와 심리에 변화를 일으키는 감정적 또는 신체적 고통을 말한다. 인간의 회복력은 보통 상당하지만, 많은 사람은 상상 이상의 방식으로 오랜 기간 동안 트라우마로 인한 변.. 2025. 1. 23. 트라우마에 대한 재인식과 일상적 차원의 트라우마 주디스 허먼이 비교적 현대에 들어선 시기인 20세기 후반에 개인적 차원의 트라우마에 대해 역설한 것과 같이, 트라우마에 대한 개념을 세부적으로 확장하여 압도적인 사건뿐만 아니라 치명적이지는 않은 듯한 일상의 상처도 삶을 압도하는 트라우마가 될 수 있음을 포착하고 천착한 연구자로는 심리학자 멕 애럴(Meg Arroll)과 정신과 의사 폴 콘티(Paul Conti)도 있다. 영국심리학회의 공인 심리학자이자 과학자인 애럴은 “빅 트라우마”(Big T trauma)와 “스몰 트라우마”(Tiny T trauma)의 개념을 이야기한다. 그녀는 일반적 의미의 “트라우마”, 즉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의미인 “빅 트라우마”에 대해 전쟁의 경험과 어린 시.. 2025. 1.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