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진 오닐3

『밤으로의 긴 여로』의 구성적 기본 개요 『밤으로의 긴 여로』의 타이런(Tyrone) 가족들은 타개하기 힘든 듯한 서로에 대한 애증과 트라우마의 얽힘으로 견디기 힘든 심적 고통이 극심한 삶을 살아가면서 이러한 상태에 갇혀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타이런 가족의 모습이 원한과 증오로만 가득한 것은 아니지만, 간헐적으로 보이는 애정과 화해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충격적인 열린 결말과 같은 마지막 장면으로 극이 마무리되는 것은 또다시 비슷하게 반복될 먹먹한 순환을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루를 담고 있는 4막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의 각 막이 다루는 시간대가 아침, 점심, 저녁, 밤으로 시간이 흐르는 순서를 따라 이루어진 것도 반복되는 순환에 대한 암시적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네 명의 등장인물이 보여주는 상처와 절규 등이 과거가 현재와 미래를.. 2025. 2. 4.
유진 오닐과 『밤으로의 긴 여로』 오닐은 주제와 플롯, 다양한 사조와 형식 등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한 실험극을 시도했고, 삶의 문제와 인간 내면의 침잠을 함축적 표현과 진솔한 어조로 선보였다.   특히 그의 마지막 발표 작품인 『밤으로의 긴 여로』(Long Day's Journey into Night)는 1912년 어느 여름날 가족 별장에서의 이야기로, 등장인물은 부부인 제임스 타이런(James Tyrone)과 메리 타이런(Mary Tyrone), 삼십 대와 이십 대인 두 아들 제이미(Jamie)와 에드먼드(Edmund), 그리고 하녀 캐슬린(Cathleen)이 전부이지만, 하루가 채 안 되는 시간적 배경의 범위 안에서 가족들은 각자의 내밀한 상처와 비통과 회한을 드러내며 그들의 압축된 일생을 보여준다.  작품을 쓰기 시작하면서 오.. 2025. 2. 2.
미국에도 도래한 사실주의와 유진 오닐 한편 미국은 19세기에도 문예 전반에 걸쳐서 유럽에 문화적인 근원을 두고 있던 형국이었다.  “자국의 어떠한 독립 극장 운동도 갖고 있지 못한 미국을 깜짝 놀라게 만든 것은 입센과 스트린드베리, 쇼 등의 자연주의 연극의 돌연한 도래였다”(Having no independent theatre movement of its own, America was stunned by the sudden arrival of the naturalistic drama of Ibsen, Strindberg and Shaw, 112)고 J. L. 스타이언은 지적하며, “사실주의를 지향하는 한층 급박한 충동이 전문 극장 속에서 느껴졌다”(a more urgent impulse towards realism was felt in th.. 2025.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