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본주의2

자본주의가 공고화되며 위상이 승격된 가족 공동체 사회구조와 이데올로기는 상호강화되는 측면이 강하다. 근대 사회에 들어 자본주의가 공고화되며 가족 공동체는 사회·국가 공동체와 상호 보완적이고도 핵심적인 제도로 승격된다. 자본주의는 특성상 노동자가 "금욕"적인 노동 활동과 생산품에 대한 "소비"라는 양가적 모순을 내포하고 해소하도록 요구한다. 과거에 생산 단위로 기능했던 가족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로 소비 단위로 기능하게 되었다.  공적 영역·사적 영역에 대한 이분법이 강화되며 가족의 생계를 부양하는 남성 생계부양자와 가정 안에서 가사를 도맡고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과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은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가족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변화 과정에 대해 자레츠키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이 과정은 산업혁명에 따라 부수적으로 진행된 "개인.. 2025. 1. 18.
자본주의가 도래함에 따라 달라지기 시작한 가족의 모습과 위상 가족의 모습과 위상이 고대나 중세와 달라지기 시작한 건 자본주의 체제가 본격화되면서부터이다. 중세 이후 신대륙이 발견되고 신항로가 개척됨에 따라 식민지 건설이 본격화되며 유럽 사회는 노동 체계와 경제 구조를 비롯한 여러 전반적인 면면에 있어 다른 차원의 국면에 접어든다. 또한 봉건제 또는 왕권주의였던 사회체제는 프랑스 대혁명과 영국의 산업혁명을 거치며 정치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에서 격변하였다. 일부 소수가 통치력을 가졌었던 정치체제는 시민의 영향력이 증대되었고, 경제체제는 자본주의가 점차 자리를 잡으며 확립되었다.   이러한 여러 방면의 변혁 이전에 일반적인 가족의 형태는 농업 또는 수공업에 종사하며 한 단위를 이루어 농사를 짓고 상품을 생산하는 농장이자 장원(莊園)의 개별단위였다. 이 기본단위의 가족 .. 2025.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