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실주의 문예 사조의 등장/유진 오닐의 『밤으로의 긴 여로』12

타이런 가족 모두의 등장, 아침의 풍경 메리의 긴장도 잠시, 곧이어 말소리와 기침 소리만 내던 큰아들 제이미와 막내 에드먼드가 얼굴에 웃음이 걸려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서른세 살인 제이미는 용모가 타이런과 비슷한 듯하지만, 아버지에게 엿보이는 활력과 건강의 기운은 보이지 않고 일찌감치 노쇠해 가는 기미가 나타나는 느낌의 모습이다. 방탕함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제이미는 잘생긴 얼굴의 느낌이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한 모습이지만, 다른 가족들과는 다르게 코가 눈에 띄는 매부리코이다. 그의 모습은 냉소적인 얼굴 표정과 어우러져 메피스토펠레스 같은 느낌을 준다.  에드먼드는 제이미와 다소 다른 느낌의 용모이다. 제이미보다 열 살 어린 에드먼드는 형보다 키는 더 크고 마른 모습이지만 강단 있는 풍모를 지녔다. 제이미가 아버지와 가까운 인상이라면, 에.. 2025. 2. 8.
남편 제임스의 첫 등장, 부부의 모습 순수한 인상의 아름다운 용모, 부드러운 목소리와는 상반되는 듯한, 예사롭지 않은 메리의 모습과 태도는 내재된 복선을 암시한다. 평론가 티모 티우사넨(Timo Tiusanen)은 작품이 전개되며 점층적으로 드러나는 표층과 심층의 이중 구조를 언급하며, “무엇보다, 가면들이 있다”(There are, first of all, the masks, 39)고 말하고, “메리는 1막에서, 완화된 자신감의 가면과 신경과민의 가면, 이렇게 두 가면을 가지고 있다”(Mary Tyrone has two masks in act 1, those of relaxed self-confidence and of nervousness, 39)고 지적한다(“Through the For into the Monologue.” Eugene .. 2025. 2. 6.
『밤으로의 긴 여로』가 발표된 시기와 작중 첫 번째 등장인물 메리 『밤으로의 긴 여로』는 오닐의 사후 25년 후가 아닌 3년 후(1956년)에 발표된다.  전기 작가인 겔브 부부에 따르면 오닐이 사망하기 한 해 전에 부인 칼로타에게 “『밤으로의 긴 여로』에 대한 출판 제한은 더 이상 한정적이지 않다고 말했다”(O’Neill told her the publication restrictions on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no longer applied, O’Neill 937)고 한다.  부인에게 이러한 말을 하며 오닐은 제한 조건을 명기했었던 이유에 대해 처음으로 밝혔는데, 첫째 아들인 유진 오닐 주니어(Eugene O’Neill Jr., 1910~1950)가 극의 자전적 성향을 이유로 보류를 요청했었다고 말하면서, 유진이 사망했으니 이제 .. 2025. 2. 5.
『밤으로의 긴 여로』의 구성적 기본 개요 『밤으로의 긴 여로』의 타이런(Tyrone) 가족들은 타개하기 힘든 듯한 서로에 대한 애증과 트라우마의 얽힘으로 견디기 힘든 심적 고통이 극심한 삶을 살아가면서 이러한 상태에 갇혀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타이런 가족의 모습이 원한과 증오로만 가득한 것은 아니지만, 간헐적으로 보이는 애정과 화해의 모습에도 불구하고 충격적인 열린 결말과 같은 마지막 장면으로 극이 마무리되는 것은 또다시 비슷하게 반복될 먹먹한 순환을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하루를 담고 있는 4막으로 이루어진 이 작품의 각 막이 다루는 시간대가 아침, 점심, 저녁, 밤으로 시간이 흐르는 순서를 따라 이루어진 것도 반복되는 순환에 대한 암시적 구성이라고 볼 수 있다.  네 명의 등장인물이 보여주는 상처와 절규 등이 과거가 현재와 미래를.. 2025. 2. 4.
『밤으로의 긴 여로』를 분석했던 선행 연구의 경향 『밤으로의 긴 여로』가 가족 심리극의 성격이 강한 만큼 선행 연구들도 대체로 가족의 심리적 갈등과 그로 인한 역학 관계에 역점을 두어 논의를 풀어내는 경향을 보인다.  선행 연구들은 고찰의 주요한 방향에 따라 가족 갈등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페미니즘과 자본주의와도 접점을 비추어 살피며 연구의 다양한 노선과 분석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 대한 비평에서 초반에 논란이 두드러졌던 부분은 여성 등장인물 메리에 대한 해석이다. 메리는 적지 않은 비평가로부터 부정적인 분석의 대상이 되었는데, 그 이유는 그녀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아내와 어머니의 상이 아니라는 모습 때문이었다.  도리스 V. 포크(Doris V. Falk)는 1958년 펴낸 그녀의 평론에서 『밤으로의 긴 여로』는 고통의 서사를 일관되게 사실적으로.. 2025. 2. 3.
유진 오닐과 『밤으로의 긴 여로』 오닐은 주제와 플롯, 다양한 사조와 형식 등을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다양한 실험극을 시도했고, 삶의 문제와 인간 내면의 침잠을 함축적 표현과 진솔한 어조로 선보였다.   특히 그의 마지막 발표 작품인 『밤으로의 긴 여로』(Long Day's Journey into Night)는 1912년 어느 여름날 가족 별장에서의 이야기로, 등장인물은 부부인 제임스 타이런(James Tyrone)과 메리 타이런(Mary Tyrone), 삼십 대와 이십 대인 두 아들 제이미(Jamie)와 에드먼드(Edmund), 그리고 하녀 캐슬린(Cathleen)이 전부이지만, 하루가 채 안 되는 시간적 배경의 범위 안에서 가족들은 각자의 내밀한 상처와 비통과 회한을 드러내며 그들의 압축된 일생을 보여준다.  작품을 쓰기 시작하면서 오.. 2025.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