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실주의 문예 사조의 등장/유진 오닐의 『밤으로의 긴 여로』

타이런 가족 모두의 등장, 아침의 풍경

by spiritual-journey 2025. 2. 8.

메리의 긴장도 잠시, 곧이어 말소리와 기침 소리만 내던 큰아들 제이미와 막내 에드먼드가 얼굴에 웃음이 걸려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Photographed by Andrew Ruppenstein, July 18, 2020 / in 2003 revival at the Plymouth Theatre, New York City

 

 

서른세 살인 제이미는 용모가 타이런과 비슷한 듯하지만, 아버지에게 엿보이는 활력과 건강의 기운은 보이지 않고 일찌감치 노쇠해 가는 기미가 나타나는 느낌의 모습이다. 방탕함의 흔적에도 불구하고 제이미는 잘생긴 얼굴의 느낌이 여전히 남아 있기는 한 모습이지만, 다른 가족들과는 다르게 코가 눈에 띄는 매부리코이다. 그의 모습은 냉소적인 얼굴 표정과 어우러져 메피스토펠레스 같은 느낌을 준다.

 

에드먼드는 제이미와 다소 다른 느낌의 용모이다. 제이미보다 열 살 어린 에드먼드는 형보다 키는 더 크고 마른 모습이지만 강단 있는 풍모를 지녔다. 제이미가 아버지와 가까운 인상이라면, 에드먼드는 어머니와 가까운 인상이다. 메리처럼 에드먼드도 입매를 비롯해 손과 손동작까지 지나친 예민함이 엿보인다. 에드먼드는 가족 중 가장 어린 나이의 인물이지만, 모습으로는 병색이 완연한 느낌의 인상이다.

 

타이런 부부가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등장했듯이 제이미와 에드먼드도 장난스럽게 명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거실에 모인 네 명은 간밤에 타이런이 코 골았던 이야기와 에드먼드가 전날 들었던 일화인 이웃이자 타이런의 농장 소작인 쇼너시(Shaughnessy) 영감에 대한 이야기로 대화를 나누며 박장대소하기도 하고, 타이런이 아들들을 질책하며 꾸짖기도 하여 메리가 말리기도 하는 등 여느 가정의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인 평범한 모습을 보여준다.

 

그러다가 타이런이 제이미를 힐책하는 시점에 에드먼드가 질색하며 위층으로 올라가는데, 메리는 에드먼드가 여름감기에 걸려서 컨디션이 예민해진 것이라고 초조하게 덧붙이며 이야기한다. 이에 제이미가 진심으로 걱정하며 단순한 감기가 아닐 거라고 말하자, 메리는 불만스럽게 돌아보며 감기가 맞다고 못박아 이야기한다.

 

이때 타이런은 에드먼드가 말라리아에 걸린 것일 수도 있다고 한 하디 선생에게 들은 진단 소견을 이야기하는데, 메리는 사나운 얼굴로 돌변하며 하디 선생! 그이가 성경책을 산더미처럼 쌓아 놓고 맹세를 한대도 난 안 믿어!”(Doctor Hardy! I wouldn’t believe a thing he said, if he swore on a stack of Bibles! 27)라고 말하며 발끈한다.

 

메리는 에드먼드의 심상치 않은 기침에 대해 여름감기라고 확신하고 싶은 듯 강조하여 말하면서도 극도로 예민하게 초조한 모습을 보인다. 반복적으로 표현되는 메리의 부자연스러운 반응들은 이 지점이 그녀의 트라우마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평론가 노먼드 벌린(Normand Berlin)은 작품의 시간적 배경인 이날에 대해 특별한 날”(special day)이라고 말하는데, 에드먼드가 폐결핵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날이고, 메리가 그녀의 모르핀 중독으로 다시 회귀한 날이기 때문에 이날을 여느 날과 다른 "특별한 날"로 지적할 수 있다고 표현한다(Eugene O’Neill 7).

 

이 두 가지 중요한 사항은 결코 관련이 없지 않다. 또 다른 평론가 로버트 브루스타인(Robert Brustein)도 메리가 에드먼드의 건강 악화에 대해 사실대로 직면하지 못할 것이므로 에드먼드의 폐결핵은 이어서 드러나는 메리의 재투약과 부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언급한다(“The Theatre of Revolt.” Eugene O’Neill’s Long Day’s Journey into Night. Ed. Bloom, Harold 26). 메리는 모르핀 중독의 치료를 위해 요양원 생활을 하다가 두 달 전에 집으로 돌아왔고 아슬아슬하게 회복의 상태로 지내던 중이었다. 그녀는 이날 다시 모르핀에 대한 의존 상태로 되돌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