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이분법1 자본주의가 공고화되며 위상이 승격된 가족 공동체 사회구조와 이데올로기는 상호강화되는 측면이 강하다. 근대 사회에 들어 자본주의가 공고화되며 가족 공동체는 사회·국가 공동체와 상호 보완적이고도 핵심적인 제도로 승격된다. 자본주의는 특성상 노동자가 "금욕"적인 노동 활동과 생산품에 대한 "소비"라는 양가적 모순을 내포하고 해소하도록 요구한다. 과거에 생산 단위로 기능했던 가족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주로 소비 단위로 기능하게 되었다. 공적 영역·사적 영역에 대한 이분법이 강화되며 가족의 생계를 부양하는 남성 생계부양자와 가정 안에서 가사를 도맡고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과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은 정상적이고 일반적인 가족으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변화 과정에 대해 자레츠키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이 과정은 산업혁명에 따라 부수적으로 진행된 "개인.. 2025. 1. 18. 이전 1 다음